가여

가여001
왕세자나 황태자가 타던 가마.

고가 여행001
비용을 많이 들여 단기간에 호화롭게 하거나 장기간 하는 여행.

고가 여행객001
관광을 위하여 비싼 값을 치르고 두루 돌아보며 구경하러 다니는 여행객.

고운사^석조^석가여래^좌상001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에 있는 불상. 손상이 거의 없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불상의 머리ㆍ얼굴ㆍ신체ㆍ옷 주름ㆍ대좌ㆍ광배 따위의 양식으로 보아 9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의성 고운사 석조 여래 좌상’이다.

공주^갑사^석가여래^삼세불도^및^복장^유물001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갑사에 있는 불화(佛畫)와 복장 유물. 대형 화폭에 짜임새 있게 그려진 석가여래 삼세불도는 18세기의 승려 화가 의겸(儀謙)이 제작한 세 폭의 삼불도이다. 복장 유물은 삼불도와 함께 18세기 초의 것으로, 불화 복장 의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보물 제1651호.

공주^동학사^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및^복장^유물001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동학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목조 불상과 복장 유물. 복장 유물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해 선조 39년(1606)에 석준(釋俊), 각민(覺敏) 등이 참여하여 제작했음을 알 수 있다. 보물 제1719호.

관룡사^용선대^석조^석가여래^좌상001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 근처의 용선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불상. 산꼭대기의 높은 바위 위에 놓여 있다. 대좌는 상대ㆍ중대ㆍ하대로 이루어져 있고, 광배는 없어진 상태이다. 양감이 줄어든 신체 표현이나 도식적인 옷의 주름 선 따위로 보아 통일 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 여래 좌상’이다.

금동^정지원명^석가여래^삼존^입상001
충청남도 부여군 국립 부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삼국 시대의 불상. 본존불의 광배에 본존불을 좌우에서 모시는 두 보살이 함께 주조되어 있는 삼존불이다. 광배 뒷면에는 ‘정지원’이라는 인물이 죽은 아내를 위하여 조성했다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중국의 북위 때에 유행한 불상 양식을 수용하였으나, 조각 수법이 약간 떨어진다. 보물 제196호.

부산^범어사^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001
부산특별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불상. 현종 2년(1661)에 조성한 총 3구의 불상이며, 수두(首頭)ㆍ희장(熙莊)ㆍ보해(寶海)ㆍ경신(敬信)ㆍ쌍묵(雙黙)ㆍ뇌영(雷影)ㆍ신학(信學)ㆍ청언(淸彦) 등이 조각하였다. 적당한 신체 비례로, 균형미가 있는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보물 제1526호.

석가-여래001
석가모니를 신성하게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