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안003
불경을 볼 만한 안목. 즉 경문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이른다.
경안001
조선 시대에, 서울의 각 관아에 두었던 노비의 등록 장부.
경안^공주002
인물을 알맞은 자리에 배치하기 위하여 서울 관아의 관원과 개성부, 강화부, 수원부 따위의 유수(留守)에 대하여 기록한 책.
경안-군001
조선 태종의 딸(1393~1415). 원경 왕후의 소생이며, 권규에게 하가하였다.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경안-법001
조선 제17대 효종의 형인 소현 세자의 셋째 아들(1644~1665). 자는 회(檜). 인조 때 강빈 옥사(姜嬪獄事)에 연루되어 어머니와 세 형제가 죽었으나, 그 뒤 죄가 없음이 밝혀졌다.
경안^신학^대학원^대학교001
거문고나 해금 따위의 현을 밀거나 당기지 않고 가볍게 눌러서 연주하는 기법.
경안-악001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에 있는 사립 신학 전문 대학원. 2005년에 개교하였다.
경안와^뇌엽^절개술001
악장의 이름. 임금이 친히 참석하여 지내는 선농(先農), 선잠(先蠶), 우사(雩祀)의 제향 때에 쓰던 음악으로, 신을 맞아들일 때와 보낼 때 연주하였다.
경안지곡001
이마굴 뒤의 눈구멍 천장을 통해 대뇌 이마엽을 잘라서 시상(視床)과의 연결을 끊는 수술.
경안지악001
고려 시대에, 천지에 지내던 환구단 제사에서 천신을 맞아들일 때에 연주하던 음악.